메뉴 메뉴
닫기
검색
 

학술·사회

제 726 호 이태원 참사 1주기, 무엇이 달라졌을까?

  • 작성일 2023-11-20
  • 좋아요 Like 0
  • 조회수 5029
김상범

이태원 참사 1주기, 무엇이 달라졌을까?

▲ 10월 29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1주기 시민추모대회 (출처: 조선일보)


  지난달 10월 29일, 이태원 참사 1주기를 맞아 이태원과 서울광장 등 서울 주요 도심 여러 곳에서 추모 집회와 행진이 열렸다. ‘기억, 추모, 진실을 향한 다짐’이라는 제목으로 서울광장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추모제는 159명의 희생자를 추모하고 진실을 찾는 여정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마련됐으며 5000여 명이 넘는 시민들이 참여했다. 또 애도하는 시민들의 메시지가 빼곡하게 붙어있는 이태원역 1번 출구에는 참사를 기억하는 많은 시민들이 찾아와 추모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인 29일 이태원 참사 골목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모습 (출처: 디지털타임스)


  참사가 일어난 지 1년이 지났지만, 유족들은 여전히 가족을 잃은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희생자를 추모하며 아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희생자의 대부분이 20대인 만큼 대학가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았고 많은 대학생들이 추모 행렬에 동참했다. 이번 기사에서는 참사 이후 1주년이 지난 지금, 해당 사건을 한 번 더 돌아보고 변화된 할로윈 데이 모습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이태원 참사 발생원인 및 사후대처


  참사 발생의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이후 첫 야외 노 마스크, 3년 만의 거리 두기 없는 할로윈데이로 인해 참사 당일 13만 명의 많은 사람들이 이태원 근방에 동시다발적으로 모였지만 안전 매뉴얼과 현장 통제 인원이 훨씬 부족했다는 점이다. 당시 이태원에는 137명의 경찰이 투입되었는데 그마저도 대부분 마약 등 범죄 단속을 벌이는 역할이었다. 게다가 참사 지난해에는 경찰 전문 기동대가 있었지만, 참사 당시 이태원에는 1개의 기동대도 투입되지 않아 사실상 통제가 없었기에 참사가 커졌다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책임을 회피하는 답변을 내놓았다. 행정안전부에서는 인력을 미리 배치했더라도 막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인파가 늘 것을 고려해 참사 지난해보다 40% 늘린 경찰을 배치했다고 했지만, 고작 37명의 경찰이 추가 배치되었다. 서울시 오세훈 시장은 “이번 사고에 책임을 느낀다.”라며 사과했지만 “사고 예방이 부족한 것을 인정하나”라는 질문에는 수사 결과가 나오면 입장을 밝히겠다고 답변을 했다. 용산구는 이태원 할로윈이 공식 행사가 아니라 따로 안전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답변을 하였지만, 재난안전법에는 지방자치단체가 여는 행사는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안전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되어있기에 주최자가 없었더라도 사람이 몰릴 것을 예상했다면 안전 관리에 신경을 썼어야 한다고 지적이 이어졌다.


  159명의 희생자를 낸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나고 수사를 통해 용산구청, 용산경찰서 등 관계자 총 18명이 재판에 넘겨졌지만 정확한 참사의 발생 원인과 책임소재가 분명히 밝혀진 것은 없다. 때문에 유족들을 중심으로 참사 전반에 대한 사실관계와 책임소재를 명확히 밝히고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특별법을 제정하려는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다. 바로 ‘10・29 이태원참사 피해자 권리보장과 진상규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특별법'이다. 하지만 현재 정부는 참사에 대해 경찰청이 특수수사본부를 통해 대대적인 수사를 해 진상규명이 되었고, 정부가 피해자와 유족들에게 지원을 했으니 특별법을 통과시킬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참사 이후 변화된 할로윈 데이의 모습은?


  참사 이후 대한민국의 할로윈 데이의 모습은 전과는 많이 달라졌다. 참사가 일어났던 이태원 주변은 할로윈 데이를 즐기는 모습 대신 추모의 공간으로 자리 잡았고, 홍대, 강남 등 서울의 다른 지역으로 사람들이 몰렸다. 31일 7시 이후 관측된 서울 실시간 도시데이터에 따르면 홍대는 오후 7시 기준 6만 6천 명이 모이는 등 많은 사람들이 홍대로 몰렸다. 이러한 많은 인파로 인해 경찰은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구간의 여러 골목을 6구간으로 나눠 대부분의 골목에서 차량 통행을 제한했다. 홍대 거리 인근에 인파 사고에 대비한 소방차와 응급차를 배치하고 유사시에는 골목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했다. 

▲ 2023년 할로윈축제를 대비해 경찰이 순찰하는 모습(출처 : 머니투데이)


  참사 이후 과거에 사라졌던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가 다시 생겨나거나, 카타르 월드컵 길거리 응원이 취소되는 등 우리 삶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이태원 참사 그들의 잘못이 아닌 국가의 잘못


  사고 이후 참사를 당한 사람들을 상대로 “할로윈 데이에 해당 장소를 간 사람들이 잘못이다.”라는 비난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참사는 희생자들이 그 장소에 가서 사건이 일어난 것이 아닌, 비좁은 공간에 한꺼번에 인파가 몰리고, 시민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국가가 그 인파가 몰릴 경우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벌어진 일이다. 희생자들에 대한 비난보다는 이번 사건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정부가 이태원 참사 특별법을 통과시켜 참사의 진상규명과 관련자 처벌을 통해 앞으로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윤정원 부장기자, 장원준, 이은민 기자